어제 전주국제영화제JIFF에 왔다. <실비아의 도시에서>라는 호세 루이스 게린의 영화를 보고, 또 벨라 타르의 은퇴작인 <토리노의 말>을 봤다.
<토리노의 말>은 정말 경악스러울만큼 소름돋는 명작이다. 아마도 올해 극장에서 본 최고의 영화가 되지 않을까, 하고 섯불리 예상해본다. 종말의 시대를 살아가기에 대한 탁월한 은유이자, 유로피안들이 갖고 있는 반유대주의의 종말적 징후에 대한 냉철한 비판처럼 보인다. 그리고 영화의 종말에 대한 메타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래저래 잊혀지지 않는 영화다.
<포르투갈식 이별>은 <아스날> 등을 만든 러시아 몽타주 영화의 대가 도브첸코가 뒤늦게 1980년대 리스본에서 환생해 찍은 영화처럼 보일정도로 미학적으로 닮아있다. 그러나 <대지>나 <아스날>이 뭔가 적합한 스타일과 내용의 조화가 느껴지게 한다면, 이 영화에서는 시차의 간극이 너무커서 쌩뚱맞게 늦겨지기도 하고, 과도한 멜랑콜리의 분출처럼 보이기도한다. 또 정서적으로는 "과작의 현인"이라 불리는 스페인 영화감독 빅토르 에리세의 <남쪽>에서 느껴지는 '남겨진 자들'의 죄의식 같은 것도 보이는데 이거 뭔가 이베리아반도의 소수파들이나 반혁명의 고통를 처저리게 느낀 세대가 지닌 특유의 정서인듯하다. 이런 7~80년대 영화들을 제외하고는 스페인 영화의 시간에는 단절이 있는 것 같다. 이 영화는 아마 1985년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