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7월 2023 · 6 분 길이 새롭지 않은 신당, 대안 없는 대안정당, 기반 없는 대중정당 무당층이 늘어나면 공백을 비집고 들어가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가뜩이나 거대 양당이 ‘누가 더 엉망인가’를 두고 경쟁하는 상황에선 더 그렇다.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 위성정당을 자처하며 뱃지를 단 기본소득당이나 시대전환을 언급하고 더 보기
5 7월 2023 · 3 분 길이 마크 피셔의 『자본주의 리얼리즘』을 읽었다 예전에 읽다가 덮었는데, 다시 펼쳤다가 매우 재밌게 읽었다. 2년쯤 전에 덮었던 이유는 서두의 논의가 당시 내게 너무 무겁고 우울하게 느껴졌고, 정치철학과 문화비평이 혼합된 것처럼 보이는 이런 책에 조금 질려 있었기 더 보기
4 7월 2023 · 17 분 길이 우리의 과제는 긴 밤을 기회로 삼아 대항세력을 조직하는 것뿐이다 아래 글은 노회찬 5주기 추모 심포지움 “복합위기의 시대, 정치의 재구성” 중 김윤철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의 “폐허의 응시: 심층적응 정치의 구상”에 대한 토론문이다. 1990년대의 지식인 논자들이 사회 혹은 사회운동에 대해 더 보기
3 7월 2023 · 4 분 길이 승자독식의 착취로 만들어지는 K-콘텐츠에 미래는 없다 지난 4월 말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 일정 중 만난 넷플릭스 최고콘텐츠책임자 테드 서랜도스는 향후 4년간 한국에 25억달러(약 3조2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대통령실은 이를 윤 대통령의 외교 더 보기
1 7월 2023 · 1 분 길이 ‘탄소 식민지’ 동남아에 떠넘긴 옷 공장…선진국의 세탁법 [한겨레 토요판] 홍명교의 이상동몽 우리가 입는 옷을 잘 살펴보자. 지난달 구매한 유니클로 티셔츠는 올해 초 중국에서, 지난해 말 무인양품에서 산 잠옷은 그해 3월 캄보디아에서 제조됐다. 그러나 이 간단한 정보 외에는 더 보기
28 6월 2023 · 5 분 길이 탄소 식민주의 : 부유한 나라들이 기후 파괴를 수출하는 법 <탄소 식민주의: 부유한 나라들이 기후 파괴를 수출하는 법>을 어제 밤새 읽었다. 지리학자이기도 한 저자 로리 파슨스(Laurie Parsons)는 캄보디아 노동 현장에서 목격한 풍광들로부터 오늘날의 글로벌 자본주의의 더 보기
21 6월 2023 · 8 분 길이 ‘묻지마 단결론’의 함정 ‘단결’이 노동운동·노동조합·노동자계급의 궁극적 지향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부정할 사람은 없다. 노동정치 역시 마찬가지다. 진보정당 문제와 관련해 “일단 단결해야 하지 않겠습니까!”라는 외침이 호소력을 갖는 이유도 여기 있다. 한데 더 보기
14 6월 2023 · 8 분 길이 상층 엘리트들만의 '세번째 정치분파'를 구축하는 게 쉬울까, 대중운동을 바탕으로 한 좌파의 정치적 비전을 전면화하는 게 쉬울까? 휴가 한 달이 다 되어간다. 세상 돌아가는 일에 신경 끄고 살려고 노력 중이지만 쉽지가 않다. 스스로를 '진보주의자'로 자처하는 직업적 정치인들이 상층 엘리트들 간의 연합을 통해 '진보주의자들이 더 보기
27 5월 2023 · 60 분 길이 동아시아 위기 정세를 둘러싼 진보진영의 혼돈과 국제주의의 재생 우크라이나 전쟁과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경기 침체, 식량 위기 등에 대해서는 앞선 여러 논의들에서 충분히 다루었을 것이라 짐작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위기가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동아시아 각국 사회운동은 어떤 조건에 더 보기
10 5월 2023 · 8 분 길이 ‘노동중심성’이라는 텅 빈 기표를 재정의하기 노동정치를 둘러싼 뭇사람들의 언어는 참 불친절하다. 그것이 정작 노동자들에게 온전히 전달되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일까? 얼마 전 민주노총 대의원대회에서 기존의 우려를 벗어나 토론 수준으로 다뤄진 민주노총 정치방침안 4항 “농민, 빈민 등 더 보기
8 5월 2023 · 1 분 길이 신간 “일할 자격”을 읽었다 많은 매체들은 노동 문제에 대해 말할 때 노동정책이나 노동정치, 노동조합의 투쟁 등에 대해 말하고, 정박된 내러티브 안에서만 노동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나 우리의 구체적인 노동은 그보다 훨씬 다양하고, 많은 숨겨진 서사들을 더 보기
6 5월 2023 · 5 분 길이 Korean Labor Movement All-Out against Repression 이 글은 ALR의 요청으로 작성됐다. 원문 링크: https://labourreview.org/repression-escalation/ On May Day, a local union leader surnamed Yang, from the Korean Construction Workers Union (KCWU), set himself on 더 보기
2 5월 2023 · 2 분 길이 “토리와 리키타” 상영회: 다르덴 형제를 만났다 노동절 집회 후 짐 가져다놓고 <토리와 리키타> 상영회에 갔다. 마침 다르덴 형제가 방한해 영화 상영 후 GV가 진행됐다. “종종 영화는 그 자체로 현실을 반영하고 또 이 영화처럼 분노를 더 보기
1 5월 2023 · 2 분 길이 Korea's May Day: Tradition and Renewal I wrote about the history of May Day in Korea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year struggle on Asian Laour Review. 请大家关注这篇文章,我写了一篇文章关于韩国的劳动节历史和今年斗争意义。全亚洲民众团结起来! https://labourreview.org/may-day/ In 1923, 더 보기
전향 26 4월 2023 · 2 분 길이 전향의 물결 최근 학출 활동가나 교수 등 중년 지식인들의 초정파적인 전향의 물결은 사실에 근거한 것이기보다는 심리적인 문제에서 근거한 것처럼 보인다. 놀랍게도 이들이 하는 말이나 글의 행간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일종의 ' 더 보기
25 4월 2023 · 2 분 길이 플랫폼은 안전을 배달하지 않는다 배달 노동자인 저자가 일하면서 겪은 노동안전과 노동권을 위협하는 착취 기제와 알고리즘, 일터의 업무 플로우 등에 대해 노동자의 시선에서 이야기한다. 노동안전을 지키려면 단순히 제도만이 아니라 노동자들 자신의 안전에 대한 지식, 노동권을 더 보기
20 4월 2023 · 16 분 길이 ‘연합’ 없는 진보대연합당도, 퇴행적인 제3의길도 지지할 수 없다 위기의 시대에 좌파는 자신의 사회운동 기반을 강화하면서 기존의 문법을 뛰어넘는 시도를 펼쳐 정치 구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그러나 남한의 진보정당들은 그러한 도약을 감행하지 않았다. 더 보기
16 4월 2023 · 5 분 길이 『아시아를 상상하다 - 닫힘과 열림』을 읽었다 주말에 읽은 <아시아를 상상하다 - 닫힘과 열림>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메가아시아연구사업단이 기획해 역사 속의 '아시아들'에 대한 최근 연구들을 묶은 책이다. 이 책은 전통시대 아시아인의 아시아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