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더지 대피소
  • Home
  • About
로그인 구독
로그인 구독
  • Home
  • About
짐 노페디가 흐르는 『도깨비불』의 한 시퀀스
27 2월 2010 · 1 분 길이

짐 노페디가 흐르는 『도깨비불』의 한 시퀀스

이 시퀀스에서 드러나는 모리스 로네의 지독한 고독, 고립감, 슬픔이 이 영화의 전체적인 정서 자체를 지배한다. 거의 이 기조가 끝나가지 않는 가운데 에릭 싸티의 음악과 함께 흘러가는 영화이다. 이 영화는 루이

더 보기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 마을사람들의 합창
24 2월 2010 · 3 분 길이

『나의 계곡은 푸르렀다』 | 마을사람들의 합창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하고 있는 시네마테크와친구들영화제(~2. 28)에서 보았다. 영화가 끝나고 김영진 평론가와의 시네토크 시간이 이어졌는데 역시 재미있는 사람이었다. 존 포드에 대한 이런 저런 가쉽 이야기로 가득찬 시네토크 시간이었다. 뭐 나쁘지

더 보기
루이스 부뉘엘의 “욕망의 모호한 대상”
23 2월 2010 · 7 분 길이

루이스 부뉘엘의 “욕망의 모호한 대상”

영화는 평화롭게 시작된다. 라틴풍의 민속음악 같은 게 흘러나오면서 도시의 거리를 걷는 사람들이 보인다. 부뉘엘이 그려내고자하는 그 '모호한' 욕망은 아마도, 이 도시 안에 도사리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루이스

더 보기
22 2월 2010 · 2 분 길이

창작에 대한 고민

무수히 되돌아보게 되는 창작에 대한 무수한 고민들. 그래서 별의별 창작론들을 다 접하려고 하는지도 모르겠다. 로버트 맥기의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스티븐 킹의 <유혹하는 글쓰기>, 아리스토텔레스의 <

더 보기
‘여자는 여자다’에서 안나 카리나 춤추는 장면
22 2월 2010 · 3 분 길이

‘여자는 여자다’에서 안나 카리나 춤추는 장면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kXPtNTw0Hrk?controls=0&w=560&h=315] 장 뤽 고다르의 61년작? 60년작인가? 아무튼 <여자는 여자다>. 원제는 『Une femme est

더 보기
감당할 수 없는 자유
21 2월 2010 · 2 분 길이

감당할 수 없는 자유

오늘 다시 남원에서 서울로 왔다. 오늘은 새벽같이 나와서 초스피드로 달려왔더니 터미널에서 10시15분이었고, 집에 오니 11시였다. 이렇게 가까운 곳이었구나. 기분이 색달랐다. 그러나 어쨌든 오늘은 '진짜' 말년휴가 첫날이었다. 물론 그

더 보기
『국외자들 Bande a Part』에서의 춤추는 장면
17 2월 2010 · 3 분 길이

『국외자들 Bande a Part』에서의 춤추는 장면

Jean Luc Godard의 1964년작 <국외자들 Bande a Part>. 너무나 인상적이며 경쾌하고, 즐겁고, 멋지고, 슬프고, 뜨거운 영화이다. 이 영화에 대해 달리 무얼 설명할 필요있을까? 특히나 어느 식당에서의 댄스 Scene.

더 보기
11 2월 2010 · 7 분 길이

연극 『토론하는 마음: 갈매기편』

지난 11일, 학교 연극원 상자무대에서 봤다. 학교에 복학신청도 하고, 도서관에서 가서 책도 읽으려고 갔는데 마침 연극원 지하 상자무대에서 하길래, 혼자 가서 봤다. 2007년에는 한 번도 연극을 보지 않아서 처음 가는

더 보기
대학로에서 연극 『라이어』를 봤다
11 2월 2010 · 3 분 길이

대학로에서 연극 『라이어』를 봤다

지난 10일 대학로에 가서 연극 <라이어>를 봤다. 연극은 정말 오랜만이었는데, 이 대학로의 유명한 연극은 처음이었다. 이 작품은 대중적인 호응을 끌어 12년의 장기공연으로 이어지고 있는 작품이다. 그만큼 극적

더 보기
11 2월 2010 · 2 분 길이

안개 낀 남원역에서

남원역이 안개 가득한 지리산 아래 있는 모습이 잊혀지지 않는다. 남원역은 전통적인 건축양식으로 지어졌다. 지붕은 흑청색의 고풍스러운 기와지붕이고 무척 거대하게 세워져있다. 역 앞의 광장은 아주 넓어서 그런 전통적인 위엄을 뒷받침해주는 공간적

더 보기
『황야의 결투』 |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10 2월 2010 · 5 분 길이

『황야의 결투』 |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보름여만에 서울아트시네마에 갔다. 오늘은 존 포드John Ford. 영화관에서 존 포드의 영화를 처음 보는 거였고, 또 오늘 본 두 영화 모두 처음이었다. 모두가, 모든 거장들이, 존 포드에 대하여, "위대하다!"

더 보기
영화 『트로츠키 암살』 | '아무것도 아닌 자'가 죽였다
30 1월 2010 · 11 분 길이

영화 『트로츠키 암살』 | '아무것도 아닌 자'가 죽였다

올해에도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가 진행중이다. 2월28일까지다. 휴가 나와서 처음 가보았다. 보고 싶은 영화들은 많음에도 영상원 졸업영화제 보느라 여의치가 않았는데 <트로츠키 암살>은 제목 그

더 보기
영화 『500일의 썸머』
29 1월 2010 · 5 분 길이

영화 『500일의 썸머』

1월 28일, 오후. 신촌 아트레온에서 <500일의 썸머>를 보았다. FOX Searchlight에서 내놓은 소규모영화이고, 항상 그랬듯 소박하고 담담하게 라인업의 기조를 지키는 영화. Mark Webb이라는 신인감독이 연출했고, 조셉 고든-레빗(좌)

더 보기
2010년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2일차에 본 단편영화들
29 1월 2010 · 16 분 길이

2010년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2일차에 본 단편영화들

한달 여만에 또 휴가를 나왔다. 이제 복귀 후 13일, 일과로는 열흘만 보내면, 말년휴가이다. 거의 끝나가는구나. 밀리데이를 찍으면 정말 말 그대로 "2%" 남은 말년 병장. 어제 휴가를 나왔는데, 마침

더 보기
영화 ‘징후와 세기’
20 1월 2010 · 2 분 길이

영화 ‘징후와 세기’

2000년대 돌아보기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2000년대 100대 영화 보기 프로젝트>의 첫번째 영화는 <징후와 세기>. 아핏차퐁 위세라세타쿤 감독의 영화이며, 세계적으로 그를 작가의 지위에 오르게 한 주요한 작품

더 보기
16 1월 2010 · 29 분 길이

마카오에서 말로를 만나다

군대에서 낙서 쓰듯 남긴 소설(?) 그날 밤 무작정 부서진 구멍으로 비집고 들어가 담 밖으로 나왔을 때 나는 뭔가 잘못된 길로 들어선 게 아닐까 하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이미 때는 늦었고 더

더 보기
우석훈식 교의들을 파괴해야하는 이유
2 1월 2010 · 8 분 길이

우석훈식 교의들을 파괴해야하는 이유

우석훈의 <혁명은 이렇게 조용히>는 "혁명은 안단테로"라는 김규항의 글을 떠올리게 한다. 열여덞살에 읽은 이 글은, 10년만에 이렇게 변이되어 우석훈으로부터 소환된다. 일찍이 김규항은 <B급 좌파&

더 보기
영화 『멋진 하루』 | 신자유주의 라이프스타일의 기벽
22 12월 2009 · 5 분 길이

영화 『멋진 하루』 | 신자유주의 라이프스타일의 기벽

광주극장에 갔다. 이름만 들었던 그곳은 아주 오래된 극장이었다. 광주 유일의 씨네마떼끄이며, 좋은 영화들이 하는 곳. 그리고 이윤기의 두번째 영화 <멋진 하루>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여전히 상영되고 있는 곳.

더 보기

About Us

불타는 세상, 번아웃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겐 전략적인 은신처가 필요하다.

Tags

사회운동
정치
한국예술종합학교
일상
체제전환

구독

Get the best viral stories straight into your inbox!

좋아요! 링크를 클릭해 구독을 완료하세요!
인증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 Sign up
© 2025 두더지 대피소. All rights reserved. Design with by @GodoFredoNin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