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더지 대피소
  • Home
  • About
로그인 구독
로그인 구독
  • Home
  • About
'사랑'과 '민주주의'에 대한 알랭 바디우 노
11 4월 2011 · 2 분 길이

'사랑'과 '민주주의'에 대한 알랭 바디우 노

“최초의 장애물, 최초의 심각한 대립, 최초의 권태와 마주해 사랑을 포기하는것은 사랑에 대한 커다란 왜곡일뿐이다. 진정한 사랑이란 공간과 세계와 시간이 사랑에 부과하는 장애물들을 지속적으로, 간혹은 매몰차게 극복해나가는 그런 사랑이다.” - Alain

더 보기
30 3월 2011 · 1 분 길이

운동과 정치의 분리

'사회운동'을 정당운동과 결락시키려고 하는 경향에게서 최장집의 후과를 본다. 그들은 자기들이야말로 '정치'를 하는 거라고 생각하지만, (좌파)정치의 진정한 패배자들은 바로 이 '패배주의적 실용주의자들'

더 보기
정치
6 2월 2011 · 1 분 길이

정당들의 자살행위

"정당들은 스스로를 현재나 미래에 획득할 국가권력과 동일시하며 '운동'들을 거부하거나 종속시키려는 데 힘을 쏟은 나머지 부패하였다. 국가권력의 독점을 유지하는 데 신경을 곤두세우는 정당들은 지금 정치가 다른 곳으로

더 보기
슬라보예 지젝
4 2월 2011 · 1 분 길이

이집트 민중들의 투쟁에 대한 슬라보예 지젝 인터뷰

조금전 알자지라 생방송에는 슬라보예 지젝이 나와서 현 이집트 민중들의 투쟁에 대해 발언했다. 그 특유의 억양으로 마오의 말 "천국 아래엔 거대한 혼란이 있다. - 때가 무르익었다"를 인용하며 이집트의

더 보기
코엔 형제의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 불확정적인 세계의 교착상태
22 9월 2010 · 7 분 길이

코엔 형제의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 불확정적인 세계의 교착상태

연휴 전날 각색연습 수업 청강을 하러 학교에 갔다. 수업때 나의 <필경사 바틀비> 각색 계획에 대해 이야기하고, 또 이야기들을 들었다. 어려운 작업이라는 생각이 너무 많이 들었다. 내가 정말 이걸

더 보기
영화 방자전 한국영화
21 9월 2010 · 8 분 길이

영화 방자전

<방자전>은 이야기에 대한 인간의 욕망, 그 인간 중에서도 하층계급의 이야기하기의 욕망에 대한 영화이다. 쉽게 알 수 있듯 <춘향전>이라는 판소리극을 베이스로 삼고 그걸 거꾸로 뒤집어

더 보기
영화
19 9월 2010 · 2 분 길이

영화

제목에는 '웃음'이 가득하고, 사람들도 "밝다"고 이야기하는데, 어둡기 짝이 없었다. 슬프고 아픈 과거의 아주아주 미세한 좋은 점에 대해서만 생각하려고 노력하는 안간힘에 대한 영화다. 그러나 그것이

더 보기
씨네큐브에서 를 보았다
19 9월 2010 · 3 분 길이

씨네큐브에서 를 보았다

모두 봤다시피 비가 엄청나게 왔다. 광화문 거리를 걷는데 비가 무릎까지 차서 헤엄치듯 거리를 건너야 했다. 광화문역은 완전히 물에 잠겨서 아수라장이었고, 씨네큐브 쪽으로 내려가는 계단은 완전히 폭포였다. <옥희의 영화>

더 보기
베르너 헤어조크의
11 9월 2010 · 2 분 길이

베르너 헤어조크의

베르너 헤어조크의 2009년작 <악질경찰>은 아벨 페라라의 원작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확실히 헤어조크답게 다시 만들었고, 같은 제목의 아벨 페라라 영화와는 다른 맛이 있다. 몇 번의 국내 상영에서 "배드

더 보기
베르너 헤어조크의 미친 영화 <스트로스첵>
29 8월 2010 · 8 분 길이

베르너 헤어조크의 미친 영화 <스트로스첵>

이쯤되면 거의… 목숨 걸고 찍는다고 보는 게 맞는 것 같다. 오히려 나는 아마존 숲에서 찍은 <아귀레, 신의 분노>나 크레타섬의 고성에서 찍은 <싸인즈 오브 라이프>보다

더 보기
베르너 헤어조크의 <싸인 오브 라이프>
28 8월 2010 · 6 분 길이

베르너 헤어조크의 <싸인 오브 라이프>

베르너 헤어조크의 데뷔작으로 알려진 영화 <Lebenszeichen>을 봤다. 영어 제목은 "Signs of life"이고 1968년작이다. 때는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에게해의 크레타섬이다. 독일 나치 소속의 작은 규모의

더 보기
베르너 헤어조크의 <아귀레, 신의 분노>
28 8월 2010 · 7 분 길이

베르너 헤어조크의 <아귀레, 신의 분노>

베르너 헤어조크의 72년작 <아귀레, 신의 분노>. 가장 많이 알려진 작품이지만 그렇다고 많은 사람들이 본 영화는 아니다. 그만큼 헤어조크는 우리나라에 많이 알려지지 않은 작가라는 생각이 든다. 이 영화는 16세기초

더 보기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 에로틱 스릴러 퀴어무비
22 8월 2010 · 2 분 길이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 에로틱 스릴러 퀴어무비

페드로 알모도바르 주간 두번째 영화. 생각외로 드라마가 강한, 재미있는 영화였다. 영화 전체의 미장센을 지배하고 있는 이 색깔들이 이리도 화려하고 원색적인 이유가 무엇인지 조금 궁금하다. 나로써는 살짝 이해가 안된다. 어떤 나름의

더 보기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21 8월 2010 · 6 분 길이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페르도 알모도바르의 영화 <라이브 플래쉬 life flash>를 보았다. 지금까지 알모도바르의 영화들은 왠지 모르게 계속 보기를 미루었는데, 그건 어떤 낯설음 때문이었던 것 같다. 어떤 감독의 영화이든 그것에 다가가기

더 보기
데니스 호퍼의 <이지라이더>
18 8월 2010 · 4 분 길이

데니스 호퍼의 <이지라이더>

데니스 호퍼와 피터 폰다가 공동으로 제작한 영화로, 6,70년대 미국 영화에 새로운 전지를 마련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는 영화이다. 68년작이었던가? 그 당시 미국의 젊은 히피 문화, 저항문화,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 같은 것을

더 보기
프랑수아 트뤼포의 <부드러운 살결>
17 8월 2010 · 8 분 길이

프랑수아 트뤼포의 <부드러운 살결>

프랑수아 트뤼포의 영화를 거의 다 봤다고 생각했는데 이 영화는 처음 보았다. 요즘 서울아트시네마에서는 "마이티 아프로디테"라는 주제로 시네바캉스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데 이 중 트뤼포의 영화들도 몇 개 상영되고

더 보기
연극 『작은새』
31 7월 2010 · 6 분 길이

연극 『작은새』

어제 학교 상자극장에서 <고도를 기다리며>를 볼 수 있었는데 보지 못해서 아쉽긴하지만. <방해자들> 색보정을 끝내야 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 <방해자들>은 마지막 두

더 보기
허우샤오시엔의 『빨간 풍선』
27 7월 2010 · 1 분 길이

허우샤오시엔의 『빨간 풍선』

<빨간 풍선>을 다시 봤다. 볼때마다 좋지만 어제는 더 좋았다. 볼때마다 새로운 겹을 만나게 되고, 볼때마다 다른 세계가 느껴진다. 이런 영화는 많지 않다. <빨간 풍선>, <

더 보기

About Us

불타는 세상, 번아웃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겐 전략적인 은신처가 필요하다.

Tags

사회운동
정치
한국예술종합학교
일상
체제전환

구독

Get the best viral stories straight into your inbox!

좋아요! 링크를 클릭해 구독을 완료하세요!
인증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 주세요.
  • Sign up
© 2025 두더지 대피소. All rights reserved. Design with by @GodoFredoNinja